본문 바로가기
자격증공부일기

자격증 공부 AWS Builders Online Series Review 2

by 테바사키군 2022. 1. 20.

자격증 공부 AWS Builders Online Series Review 2

 

 

 

 오프닝 「Global에서 15년, 일본에서 10년이 지난 클라우드의 지금」

 

Senior evangelist 카메다 씨

 

오프닝에서는 지금껏 대부분이 AWS 아마존 웹서비스에 대해서 막연히 가상 환경을 각 기업에게 빌려주기만 하는 줄 알았습니다만, 이번 이벤트의 참가로 인하여 지금껏 알고 있던 상상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번 오프닝은 작년 LA에서 개최된 AWS re:lnent의 내용을 설명해주었는데요. 2021년 2022년 새로운 서비스와 앞으로의 예상을 소개해 주었습니다. 의학에 처음으로 통계학을 적용했던 나이팅게일의 이야기를 예로 들어주었는데요. 좋은 일을 하기 위해서 그 나이팅게일의 통계학 같은 도구를 아마존에서 제공하겠다는 얘기였습니다. 자, 이번에 소개한 서비스를 설명해갈게요.

 

AWS IoT Robo Runner

 

아직은 자립형 기계 로봇이 제조업, 소매, 서비스업 등에서 사용되는 케이스는 적은데요. 앞으로는 이 AWS IoT Robo Runner의 보급으로 소중 기업들도 자립식 기계를 도입하는 시대를 맞게 될 것입니다. 그렇게 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벤더의 로봇 간의 연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기반을 아마존에서 제공할 것입니다. 예를 들어 아마존의 물류 센터는 벌써 350,000대의 로봇이 활약을 하고 있는데요. 아마존에서는 현재 2퍼센트 정도 자립식 로봇을 쓰고 있다고 하는데 앞으로 10년 안에는 70퍼센트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합니다. Amazon Japan Kawasaki FC(아마존 일본 가와사키 물류센터)에서는 거의 모든 시스템이 로봇이 활약하고 있다고 하네요. 그래서 사무실에서 사람이 그 로봇을 조작하기만 하면 된다고 하네요. 항상 여러 물류 센터에서 인력난으로 장단기 아르바이트 모집이 있는데요. 조만간 해결될 수도 있겠네요.

 

AWS Cloud WAN

 

새로운 매니지드 서비스로 인하여 클라우드 환경과 온 프레 환경을 중간단계에서 끊김 없이 여러 기업들의 글로벌 네트워크의 구축, 관리, 감시까지 간단하게 빠르게 할 수 있도록 합니다. 그리고 하나의 데이터 센터에만 서버를 설치 하는것이 아닌 전세계에 설치된 리젼이라고 하는 데이터 센터들에 여러 분배하여 자연재해로 인한 리젼의 피해에도 끄떡없이 할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AWS Cloud WAN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인터넷 보급이 원활하지 않은 지역에서 아마존의 리젼을 이용하여 원활히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게 한다고 합니다. 예를들어 제가 어떤 동영상을 보고싶은데 해외에 있는 서버의 동영상이기 때문에 시간이 걸리겠죠? 우리는 가까이에 설치되어있는 아마존의 데이터 센터를 이용해서 동영상을 볼수 있기때문에 원활이 트랙픽 없이 고속으로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게 됩니다. 정말 아마존의 성장이 기대되고 응원하게 되네요.

 

AWS Private 5G

 

일반적으로 5G는 퍼블릭 5G라고 통신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인데요. 아마존에서도 모바일 5G 서비스 제공과 더불어 기존에 면허를 가지고 있어야만 제공할 수 있었던 5G 서비스를 면허가 없이도 운용이 가능한 구조로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누구나 간단하게 Private 5G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거죠. 예를들어 대형 쇼핑몰, 놀이공원, 경기장등에 사용하면 간단하고 빠르게 시설의 관리나 경기장에서의 시합을 리얼타임으로 더 빠르게 송출 제공 할수있게 되는거죠.

 

AWS IoT Twin Maker

 

와우, 하드웨어를 개발 시에 내구성 등을 테스트하는 것을 소프트웨어 상에서 시뮬레이션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인데요. 기본 1000시간에서 10000시간을 테스트하는 것은 굉장히 많은 시간, 돈, 노력이 드는데요. 이것을 Twin Maker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계산하고 개선점을 제안해준다고 하네요. 미쳤죠. 마블의 토니 스타크가 아이언 슈트 개발하는 것만 같네요.

 

AWS IoT FleetWise

 

대표적으로 테슬라 전기차를 시작으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자동차 (커넥티드 카) 산업이 점점 확대되어가고 있는데요. 사실 차량정보등의 수집은 한시간에 2테라바이트정도로 굉장히 방대한 합니다. AWS IoT FleetWise 서비스는 차량의 디바이스를 통합한 시스템 기반으로 하여 데이터를 압축하거나 불필요한 데이터는 삭제하여 고속통신환경을 만들수 있게 한다고 합니다. 오토파일럿이 확대 되어 가고 있는 중에는 정말 도움이 되는 서비스 이겠네요.

 

AWS Well-Architected Sustainability Pillar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분야입니다. 아마존에서는 파리협정을 기반으로 향후 10년 안에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제로로 만들겠다고 하는데요. AWS Customer Carbon Footprint Tool이라는 소프트 웨어 으를 이용 하여 각 기업들도 자사가 얼마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고 있는가 개선점과 제안까지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고 합니다. 물론 아마존도 세계 각지의 데이터 센터를 100퍼센트 친환경 에너지 재생 가능 에너지를 이용하겠다고 말했습니다.

 

Graviton 3

 

새로운 CPU의 등장입니다. 더욱더 고속화 저전력 소비를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이 CPU의 보급으로 이용요금 절감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이건 정말 설명이 짧았어요. 더 자세한 건 개발자 세션에서 알려준다고 하네요.

 

이렇게 오프닝은 끝났는데요. 정말 AWS에 대해서 잘 모르는 저도 이해하기 쉬웠습니다. 그리고 여러 서비스 안내로 아마존에 대한 기대감과 앞으로 펼쳐질 미래가 더 기대되었습니다. 제가 선택한 다음 세션은 AWS의 글로벌 인프라에 대한 세션입니다. 다음 리뷰도 기대해주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