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PIC(Linux Professional Institute Certification, 엘픽) 시험은 리눅스 리 넉스 국제 자격증 중의 하나입니다. 리눅스 기술자로서 기술력을 인정하는 IT 자격증입니다. 캐나다에 본부를 둔 NPO법인 Linux기술자 인정기관 LPI의 일본지부에 의해 운영되고 있습니다.
일본 국내에 있는 LPIC의 제공은 특정 비영리 활동법인LPI-Japan 가 해왔습니다만, 2018년 8월에 새롭게 LPI의 일본지부가 설립되어 LPIC의 운영 모체가 LPI-Japan으로부터 LPI일본지부로 바뀌었답니다.
2016년 12월 시점으로 전세계 53만 명 이상의 수험자가 있으며, 18만 명 이상의 인정을 받은 자격증입니다. 공식적인 Linux기술의 판단 기준으로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200개국 이상의 기술 가자 수험을 하고 있습니다.
LPIC취득의 장점
LPIC을 취득하는 장점으로 Linux을 사용할수있는 기술력 인정 말고도 시험대책을 통해 Linux의 지식이 전체적으로 알게 됩니다. LPI일본지부에 의하면 일본 기업의 70%가 Linux를 사용하고 있고, 인터넷 서버의 50% 이상이 Linux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Linux담당자 자체가 요구되는 것뿐만 아니라 오피스에서 Linux에 조금이라도 문제가 있으면 담당자를 부르지 않고도 어느 정도는 스스로 조사나 대처방법을 강구할 수 있는 인재는 정말 귀하겠죠. 게다가 LPI일본지부 조사에 의하면 자격증 취득 후 만족도가 89%로 여러 방면에서 사용되어 만족도를 많이 느끼는 자격증이라고 합니다.
LPIC의 종류, 등급
레벨 1 Level1、LPIC-1
실무에 필요한 Linux의 기본 조작과 시스템 관리가 가능한지 알아보는 시험입니다. Linux 디스트리뷰션의 기본지식을 묻는 문제가 출제됩니다.
대상 시험 101 시험 102 시험 (5년 내에 둘 다 취득할 것)
시험시간 90분
출제수 60문
출제형식 CBT형식(마우스 선택 문제, 키보드 입력 문제)
합격 라인 65% - 75% 정도 (변동 있음)
이력서 표기 LPIC레벨 1
일단 2개의 시험으로 구성되어 있는 레벨 1인데요. 2개의 시험을 동시에 치를 필요 없고, 5년 내에 치면 됩니다. 시험시간은 90분으로 60문제가 출제되는데요. 문제수는 생각 외로 많지 않습니다만 한 문제를 풀 때 시간을 많이 쓰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일단 전체적으로 다 풀고 다시 돌아가서 푸는 게 추천된다고 하네요. 출제 방식은 CBT 방식이고요. 합격 라인은 42문제 정도 정답을 맞히면 합격된다고 하네요.
레벨 2 Level 2、LPIC-2
Linux의 시스템 디자인, 네트워크 구축에 있어 기획 도입 유지 트러블 슈팅 수용능력 계획이 되는 엔지니어인지 인증하는 시험입니다. 전제조건 이외에 시험 시간이나 출제문제 등은 거의 레벨 1과 다르지 않습니다.
대상 시험 201 시험 202 시험 (5년 내에 둘 다 취득할 것)
이외 모두 레벨 1과 동일
레벨 3 Level 3、LPIC-3
레벨 3의 시험은 3개의 분야의 최고 레벨 전문자 인지 인증하는 시험입니다. 시험을 치를 수 있는 전제 조건 이외에 레벨 1과 다르지 않습니다. 하지만 2개의 시험에 합격하지 않으면 안 되었던 레벨 1과 레벨 2와 다르게 3개의 시험이 각 각 독립되어있습니다. 그러니까 3중에 하나만 합격하면 해당 시험의 내용의 엑스퍼트 전문가로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300 시험
Samba를 사용하여 Linux、Windows、Unix가 혼잡되어 있는 시스템을 설계, 구축, 운용, 보수 가능한 엑스퍼트 전문가 엔지니어인지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303 시험
세큐리티 보안 레벨이 높은 컴퓨터 시스템 서버를 설계, 구축, 운용, 보수가 가능한 엑스퍼트 전문가로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304 시험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을 시작으로 가상화 기술과 고가용성 시스템의 설계, 구축, 운용, 보수가 가능한 엑스퍼트 전문가로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이외에는 레벨 1과 레벨 2와 동일합니다.
시험 범위에 대해서
101의 시험 범위
시스템 구성/Linux의 설치와 패키지 관리/GNU, Unix커맨드/디바이스, Linux파일 시스템, 파일 시스템 계층 표준
102의 시험 범위
쉘, 스크립, 데이터 관리/인터페이스와 데스크톱/관리 태스크 업무/필수 시스템 서비스/네트워킹의 기초/보안
201의 시험 범위
수용능력 계획/Linux 커늘/시스템 기동/파일 시스템과 디바이스/고도의스트레지디바이스의 관리/네트워크 구성/시스템 유지
202의 시험 범위
도메인 네임서버/웹서비스/파일공유/네트워크 클라이언트 관리/전자메일 서비스/시스템의 보안
300의 시험 범위
OpenLDAP의 설정/인증 백엔드로써의 OpenLDAP/Samba의 기초/Samba의 공유설정/Samba의 유저와 그룹의 관리/Samba의도 메인 통합/Samba의 네임 서비스/Linux 또는 Windows 클라이언트 조작
303의 시험 범위
암호화/호스트 보안/액세스 제어/네트워크 보안
304의 시험 범위
가상화/고가용성 집단의 관리/고가용성 집단의 스트레치
LPIC의 유효기간
벤더계 자격증은 오래되면 실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LPIC의 경우는 유효기간은 없지만 5년간의 유의성 기간이 설정되어있다고 합니다.
LPIC의 난이도
레벨 1
Linux의 입문자 자격증으로 미경험자들에게 가장 인기가 있습니다. 교과서만 제대로 이해하고 습득하면 합격하는 간단한 시험이라고 합니다. 현역 인프라 엔지니어들에게도 실무에서 경험해보지 못한 지식의 문제가 출제되고도 한다고 합니다. 그러니 시험 준비 없이는 합격이 어렵다는 얘기네요. 그리고 일상에서 Linux를 사용하고 있어도 GUI타입의 커맨드에 익숙하지 않으면 더 공부를 해야 할지도 모릅니다. 시험 때는 그저 암기하는 것뿐만 아니라 실제로 커맨드 조작이 가능해야 합니다. 키보드로 커맨드를 입력하는 문제도 출제되기 때문입니다.
레벨 2
Linux실무 경험자를 위한 시험입니다. 수험자 대부분은 일을 하면서 통근시간이나 휴일을 이용해서 학습을 하는 거 같습니다. 합격하면 Linux의 응용적 시스템 관리 Linux 서버의 설계 구추이 가능하다고 봅니다. 게다가 네트워크에 대해서도 구축 관리 수정이 가능한 기술을 가지고 있다고 인정됩니다.
레벨 3
LPI-302 Mixed Environment
Linux、Windows、Unix가 혼잡된 시스템의 설계 구축 운용 보수가 가능하다고 인정됩니다.
LPI-303 Security
세큐리티 보안 레벨이 높은 시스템의 설계 구축 운용 보수가 가능하다고 인정됩니다.
LPI-304 Virtualization & High Availability
클라우드의 설계 구축 운용 보수가 가능하다고 인정됩니다.
레벨 3에 도달하면 독학은 어렵다고 판단하는 분들이 많다고 보입니다만, 전문강사에게 질문하면서 학습이 가능한 스터디그룹이 LPI의 공식적으로 개최되기도 하고 LPI 인정 학교도 충실하게 준비되어 있습니다.
레벨 1의 경우는 경험자라면 틈틈이 공부하면 1개월 미경험자라면 기초부터 시작해서 3개월 정도 걸린다고 합니다. 레벨 2의 경우는 수험자의 백그라운드에 따라 다르지만 하루에 사용 가능한 공부시간에 따라 필요 기간이 달라진다고 합니다. 레벨 3의 경우는 고도의 전문성을 요구하기 때문에 레벨 2와 비교하였을 경우 난이도도 크게 상승하여 1년 이상 걸리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합격점과 합격률
합격점의 경우는 65%-75%의 정도로 문제수는 60문제 전후이기 때문에 42문제 정도 맞추면 합격한다고 합니다. 합격률에 대해서는 공식적으로 비공개입니다만, 공개된 일본 국내 수험 자수의 통계는 2017년 3월 시점에서 290,000명입니다. 각 레벨별 합격자 수는 레벨 1은 69,000명 레벨 2는 21,000명 레벨 3은 13,000명입니다. 이 통계를 바탕으로 합격률은 35% 정도 됩니다만, 레벨 3의 난이도가 합격률을 낮추고 있기 때문에 레벨 1의 경우 합격률은 50%를 넘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Linux 초보자라면
참고서를 읽어가기 전에 먼저 언제나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에 Linux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추천됩니다. 실제로 커맨드를 입력하면서 학습해가는 것이 빠르게 이해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LPIC시험에는 선택 문제 이외에 커맨드를 직접 입력하는 문제도 있기 때문에 커맨드를 입력하면서 학습해 가는 것이 추천됩니다.
Linux실무 경험자라면
먼저 빠르게 참고서를 읽어가면서 지금까지 실무에서 다루지 않았던 항목 위주로 먼저 이해하고 넘어가는 것이 추천됩니다. 어느 정도 시험 범위 내용이 이해가 되었다면 시간이 있는 대로 문제집을 풀어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LPIC의 시험일정 시험장에 대해서
시험 접수 기간 : 항상
시험일 : 공휴일을 제외한 월요일에서 토요일
시험장소 : 공인 시험장
합격 발표 : 시험 종료 후 바로
LPIC의 재 수험의 경우
1회 차 시험에서 떨어졌을 경우 재 수험을 칠수 있는것이 7일후가 됩니다. 2회차에서 떨어졌을경우 재수험 가능한 것이 30일 후가 됩니다.
LPIC은 인프라 엔지니어의 등용문
LPIC Level 1은 미경험부터 인프라 엔지니어를 목표로 하는 분들에게는 등용문 같은 존재입니다. 아직 실무경험이 있는 분들은 실무에서 써본 적은 없지만 일반적인 기능을 알게 되고 자신의 스킬이 타사에서도 통하는지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Linux를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분들이나 흥미가 있으신 분들은 꼭 한번 시험을 쳐보았으면 좋겠습니다.
'자격증공부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ome Day Online Conference (0) | 2022.02.26 |
---|---|
자격증 공부 AWS Builders Online Series Review 4 (0) | 2022.01.27 |
자격증 공부 AWS Builders Online Series Review 3 (0) | 2022.01.25 |
자격증 공부 9일차 - IT Passport (0) | 2022.01.25 |
자격증 공부 8일차 - IT Passport (0) | 2022.01.24 |
댓글